'크로스오버'란
크로스오버란 어떤 장르에 이질적인 다른 장르의 요소가 합해져서 만들어진 음악으로
퓨전 음악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미국에서 어떤 곡이 몇 종류의 차트에 동시에 등장하는 현상을 의미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널리 쓰였다고 한다.크로스 오버란 말의 정의는 '교차'또는 '융합'으로
이러한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은 퓨전 재즈등 음악 장르에서부터이다.
퓨전이라는 말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음악 장르는 재즈라고 한다.
그이후 음악 장르 전반에서 크로스 오버 현상이 일어나게 되었으며, 현재는 음악뿐 아니라
대중 문화 전반에 걸쳐 '서로 넘나드는' 크로스오버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1969년 트럼펫 연주자인 '마일스 데이비스'가 처음으로 재즈에 강렬한 록비트를 섞어낸
음악을 선보였다. 이후부터 록재즈 또는 재즈록이라고 일컬어지는 음악이 등장하였다.
이어 1980년대에 접어 들면서 동서양의 크로스 오버가 일어나고, 이념과 문화를 초월하는 분위기가
조성될 무렵, 이런 분위기를 받아들인 음악 장르인 퓨전 재즈가 등장하였다.
이후 좀처럼 변화를 꾀하지 않는 클래식계에도 퓨전이 접목되어
팝,재즈,가요등에 클래식을 이용한다는가, 가요와 클래식을 접목한 콘서트를 개최하는 행사가 늘어갔다. 1980년대초 성악가인 플라시도 도밍고와 포크음악 가수인 존덴버가 함께 부른 'perhaps love'는 커다란
인기를 얻었다. 그후 성악가가 팝뮤직을 부르고 팝뮤직 가수가 성악을 부르는 일이 많아졌고,
국내에서도 국악을 이용한 크로스 오버 음악이 시도되었다. 특히 서태지의 '하여가'는 국악과 랩이 조화를
잘 이룸으로써 큰 호평을 받았고, 그후 가요계는 국악과의 결합에 새로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작년에 세종문화 회관에서 <창작 가곡의 밤> 행사가 있었다.
가곡만 부르니 1부 끝날 무렵 지루해지기 시작했다.
아름다운 한편의 시를 보는 듯한 가사가 좋긴했지만...
그때 간절했던 생각이... 바로 폭넓은 퓨전을 떠올렸다.
가곡과 더불어 악기 연주나 일반 가수들을 게스트로 초대했더라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